728x90

전체 글 45

상가 임대료 세금계산서 발행, 전자세금용 공인인증서

분양 받은 상가를 3월에 임대 계약을 맺었다. (그 때는 별로 신경을 안썼었지만) 계약 사항에 처음 2개월 동안은 임대료를 받지 않기로 했었다. 8월에 20일치 임대료가 통장에 들어왔다. 9월, 10월에도 각각 한달치 임대료가 들어왔다. 10월 중순, 임차인에게서 문자가 왔다. 기 납부한 임대료에 대한 세금계산서를 발행해 달라며, 자기의 사업자 등록증과 이메일 주소를 보내왔다. 임대 소득이 발생하면 그에 대한 세금을 내야 한다는 것은 알고 있었다. 그래서 임차인으로부터 10% 부가세를 더한 금액을 월세로 받는 것도 알고 있었다. 대략 6개월에 한 번씩 세금을 내야 하는 것도 알고 있었다. 그런데 나더러 세금계산서를 발행하라는 것은 처음 듣는 말이었다. 세금계산서라... 내 인생에서 세금계산서를 언제 본 ..

재테크 2022.10.23

요거트 만들기

유당불내증. 우유를 소화시키지 못하는 병(?)이다. 거창하게 병까지는 아니고, 우유를 먹으면 설사를 하게 된다. 평생을 살면서 내가 유당불내증이 있다는 것을 몇 년 전에야 알았다. 그 이후로는 우유는 물론 아이스크림, 카페라테 등 우유가 들어 있는 음식도 절대 먹지 않는다. 그러다가 요거트는 유당불내증이 있는 사람도 먹을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사 먹는 요거트는 비싸기도 하거니와 단맛이 너무 강하다. 마침 집에 있는 냉장고에 요거트와 우유가 있길래 한 번 만들어 보기로 했다. 집에서 요거트 만드는 법을 인터넷에서 찾아보았다. 대부분 "이러 이렇게 해서 요거트 만들기에 성공했어요~~ 참 쉽죠?" 식의 글이었다. 난 이런 글들을 그다지 신뢰하지 않는데, 하라는 대로 따라 했는데 실패하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

소소한 재미 2022.07.03

홈택스/손택스 온라인으로 상가 임대 사업자 세금 신고하기 - 무실적 신고

어느날 갑자기 국세청에서 카카오톡으로 메시지가 날라왔다. 내가 부가가치세 신고 대상이므로 기한까지 꼭 신고를 하라는 내용이었다. 나는 직장인이고, 분양 받은 상가가 하나 있다. 직장 생활을 하는 동안에는 내가 직접 세금 신고를 한 일은 한번도 없었다. 따라서 메시지는 상가 때문에 온 것이 확실했다. 상가는 아직 지어지고 있는 중이다. 그래서 상가로 인한 소득이 없고 따라서 낼 세금도 없다. 그렇다고 세금 신고를 안해도 되는 것은 아니다. "세금이 0원"이라고 신고를 해야 한다. "열람하기"를 눌러 들어가니, 사업실적이 없는 경우에는 스마트폰에서 손택스 앱을 다운받아 간편 신고할 수 있다고 한다. 손택스 앱은 홈택스의 스마트폰 버전을 일컷는 애칭이다. 복잡한 세금 신고는 아무래도 PC가 편할테지만, 0원을..

재테크 2022.07.02

상가 분양 마무리 - 분양 잔금, 임대 잔금, 소유권 이전 등기

안과 검진과 자동차 점검 등을 하려고 하루 휴가를 냈던 날이었다. 하려던 일을 모두 끝내고 아파트 주차장에 차를 대고 있는데 전화벨이 울렸다. 상가 시행사에서 온 전화였다. 상가 임차인이 잔금을 치르고 열쇠를 받고 싶어 한다는 것이다. 내일쯤 시간이 괜찮겠냐고 한다. 마침 휴가를 낸 날이었으므로, 오늘 당장 하자고 약속을 잡았다. 상가 건물의 사용승인은 며칠 전에 났다. 하지만 내가 분양 잔금을 치르지는 않은 상태였다. 원래 상가 분양의 마무리는 (1) 내가 분양 잔금을 치르고, (2) 등기/세금납부를 하고, (3) 임차인으로부터 임대 잔금을 받고 열쇠를 건네주는 것이다. 그런데, 임차인이 인테리어 공사를 빨리 진행하고 싶어 했다. 여러 호실을 사용하기 때문에 동시에 공사를 진행하려고 하는 것이었다. 임..

재테크 2022.05.23

상가 임대차 계약을 하다

내가 이 상가를 고른 이유는 상가 주변으로 12000세대의 아파트가 들어서기 때문이었다. 상가의 완공일은 2022년 3월 예정. 아파트의 입주는 2022년 7월 예정. 상가가 완공되서부터 아파트 입주가 시작될 때까지 4개월의 시간차가 있다. 내 자금 계획은 임대 보증금으로 상가 잔금을 충당하려는 것이었다. 잔금은 상가 완공에 맞춰 내야 한다. 상가는 아파트 입주가 시작될 때쯤에 나갈 것이다. 즉, 4개월간 버틸 자금이 필요한 것이다. 그 자금은 어떻게 마련할 것인가? 그것이 문제였다. 운이 좋다면 상가 완공 이전에 상가 임대를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운이 아니라, 상가의 위치가 좋으니, 머리를 굴리는 임차인이라면 다른 사람이 채가기 전에 빨리 상가 임대 계약을 하려고 하지 않을까? 당연히 완공일 이전에 ..

재테크 2022.02.27

홈택스 온라인으로 양도세를 직접 신고하다

아파트를 팔았다. 살 때와는 달리, 팔았을 때는 양도세를 납부해야 한다. 부동산 사무실에서 양도세 납부를 위해 세무사를 소개시켜 줄까? 하고 내게 물어보았다. 예전 같았으면 세무사에 납부 의뢰를 했을 것이다. 하지만 이번에는 내가 직접 해 보고 싶었다. 세무사 수수료도 아낄 수 있고 (대략 10~15만원 정도 하지 않을까?), 아파트 매매의 양도세 계산은 상대적으로 간단한 편이고, 아파트 보유 기간 동안 따로 공사를 한 적이 없어서, 낼 서류도 별로 없고, 무엇보다도, 몇 달 전에 홈택스에서 부가세 환급 신청을 했었는데, 생각보다 간단해서 자신감이 생겼다. 양도세 신고 및 납부는 다음 단계로 진행된다. 1. 양도세 신고 2. 필요 서류 제출 3. 개인지방소득세 신고 4. 양도세 및 개인지방소득세 납부 1..

재테크 2021.08.22

대출을 중도상환하다

작년 7월, 계약금만 가지고 상가를 분양받았다. 중도금을 내기 위해 아파트를 담보로 대출을 두 번 받았다. 그래서 이자와 원금 합쳐 매달 92만원 정도가 빠져나가고 있었다. 그러다, 내놓은 아파트가 팔려서 여유자금이 생겼다. 여유자금이 생기면 제일 먼저 해야 할 일은? 바로 대출금을 갚는 일이다. 일명, 대출 중도상환. 중도상환수수료 돈만 있으면 중도 상환은 은행앱으로 간단히 할 수 있다. 다만, 중도상환수수료가 붙는다. 내가 받은 대출의 중도상환수수료는 1.4% 였다. 1.4%에 (남은 기간 / 전체 기간)을 곱한 만큼을 낸다. 예를 들어, 1억원을 10년 만기로 빌린 후, 2년째 되는 날 (즉, 8년 남은 날)에 1000만원을 갚는다면, 14만원을 내는 것이 아니다. 1000만원 * 1.4% * ( ..

재테크 2021.08.01

아파트를 팔다

집을 내놓은지 8달만에 아파트가 팔렸다. 작년 10월에 내놓았었다. 하지만 몇달이 되도록 사려는 사람이 나타나지 않았었다. 이유는 세 가지. (1) 세입자가 있는 아파트를 살 때, 매수자는 매수 가격에서 보증금을 뺀 가격만 내면 된다. 내 물건은 보증금 2000만원의 월세이다. 보증금이 적기 때문에 매수자가 거의 집 값 전부를 내야 하는 부담이 있다. 게다가 요즘은 대출 규제가 강화되어 대출이 잘 안된다. (2) 작년 6월에 계약갱신청구권 제도가 시행되었다. 그리고, 작년 10월이 월세 계약 갱신일이었다. 그런데, 월세를 올리지 않았다. 그것도, 내가 올리지 않겠다고 먼저 말했다. 그래서, 세입자의 계약갱신청구권이 아직 살아있는 상태이다. (3) 집이 수리가 거의 되어 있지 않다. 그러다 드디어 매수자가..

재테크 2021.08.01

홈택스 온라인으로 상가 분양 부가세 조기 환급 신청하기

상가를 분양 받아서 중도금을 꼬박꼬박 내고 있다. 사업자 등록을 했으므로 중도금 중에서 7% 정도의 부가세를 환급받을 수 있다. 지금까지는 수원세무서에 직접 방문해서 환급을 받았는데, 매번 휴가를 내야 하니 불편하다. 그래서 국세청 사이트인 홈택스에서 부가세 조기 환급 신청을 해 보기로 했다. 처음 하는 것이라 실수할까봐 마음이 두근두근. 그래도 한 번 도전~~~. 먼저 국세청 홈택스 페이지에 접속한다. www.hometax.go.kr/ 국세청 홈택스 www.hometax.go.kr 홈택스 부가세 조기환급 신청기간 중도금을 납입해서 세금계산서가 발행된 다음달의 1일 ~ 25일 사이에 신청을 해야 한다. 그런데, 온라인으로 실제 해보니, 전자세금계산서 자료 조회가 매월 12일 이후에 가능하다고 나온다. 그..

재테크 2021.03.14

미성년 자녀 금계좌 만들기

최근 금 값이 급등락을 반복하며 대체적으로 떨어지고 있다. 개인적으로 금은 장기투자를 해야 한다고 생각하므로, 금값이 떨어지면 나는 금을 사야겠다는 생각이 들어 반갑게 느껴진다. 금투자는 KRX 금시장에서 하는 것이 제일 좋다. KRX 금시장에서 거래를 하려면 증권사에서 금계좌를 만들어야 한다. 내 계좌는 이미 만들었고, 두 아이에게도 금계좌를 만들어 주기로 했다. 장기 투자라도 수수료는 최대한 아껴야 한다. 장기 투자로 좋은 증권사는 NH투자증권과 유안타증권 두 곳이다. 보관수수료가 없는 증권사 중에서 매매수수료가 0.22%로 제일 싸기 때문이다. 나는 NH투자증권을 선택했다. 이유는 집에서 가까우니까. 미성년 자녀 KRX 금계좌 만들기 절차 요약 1. 필요서류 준비 (가족관계증명서, 기본증명서, 도장..

재테크 2021.02.28
728x90